|
서대문 독립공원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1908년 경성감옥으로 문을 연 이후 애국인사와 항일투사들이 체포, 투옥되어 가장 많은 곤욕을 치른 곳이다. 1912년 서대문감옥으로, 1923년에는 서대문 형무소로, 1967년 7월에는 서울 구치소로 여러번 개칭되었....
|
|
|
|
금강공원
|
부산광역시
|
사찰/유적지/성
|
금강공원은 마치 작은 금강산과 같다하여 신라때부터 소금강이라 불리웠으며 금강공원이라 함은 여기서 유래되었다. 이곳에는 많은 문화재와 사적뿐만 아니라 각종 체육시설과 산책로를 갖추고 있어 우리 후손들의 산교육장은 물론 ....
|
|
|
|
대덕계족산성
|
대전광역시
|
사찰/유적지/성
|
대전 시가지의 동북편에 자리잡은 계족산(鷄足山)과 남쪽의 식장산을 잇는 능선을 따라 약 30여 기의 크고 작은 산성들이 분포하고 있다. 이처럼 많은 산성이 이 지역에 존재하는 것은 대전이 백제의 수도를 방어하기 위한 ....
|
|
|
|
신흥사
|
강원도
|
사찰/유적지/성
|
신흥사의 기원은 652년(진덕여왕 6) 자장율사(慈藏律師)가 향성사를 처음 지은 것에서 비롯됩니다. 이때에는 설악산 동쪽, 즉 이곳에서 약 1㎞ 떨어진 곳에 있었으며 이 사찰은 698년(효소왕 7) 화재로 소실되었습니....
|
|
|
|
창덕궁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창덕궁은 태종 5년(1405) 이궁(離宮)으로 창건되었으며, 임진왜란으로 모든 궁궐이 불에 타자 광해군때에 다시 짓고 고종 2년(1865) 경복궁이 중건될 때까지 법궁(法宮)으로 사용되었다.
굴곡이 많은 경사진 지....
|
|
|
|
설봉산성
|
경기도
|
사찰/유적지/성
|
설봉산의 7~8부 능선, 일명 칼바위를 중심으로 약 3만여평에 달하는 지대가 바로 옛 산성터로
설봉산성은 4C후반 한성 백제시대 때 축조된 보기드문 석성(石城)으로써 당시 군사활동과 지방통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
|
|
|
|
보문산공원
|
대전광역시
|
사찰/유적지/성
|
중구는 대전광영시의 심장부로 보문산, 방화산 등이 있다. 보문산은 보물이 묻혀있다 해서 보물산으로 부르다가 보문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보문산의 대표적인 문화유적은 보문산성(시기념물 제10호)이다.....
|
|
|
|
운현궁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서울특별시 사적 제257호로서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에 위치한 운현궁은 조선조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잠저(潛邸)이며 흥선대원군의 사저이며, 한국근대사의 유적 중에서 대원군의 정치활동의 근거지로서 유서 깊은 곳이다.....
|
|
|
|
옥전고분군
|
경상남도
|
사찰/유적지/성
|
옥전고분군(玉田古墳群)은 합천지역 가야국(伽耶國)의 지배세력이 남기 고분군(古墳群)이다. 이 고분군은 합천과 거창지역을 유역권으로 하는 황강이 낙동강 본류와 합쳐지기 직전의 하류의 관문지역에 위치하며 본류와는 약 6k....
|
|
|
|
충남 은농재
|
충청남도
|
사찰/유적지/성
|
두마면 두계리 96번지 사계고택((沙溪古宅 : 隱農齋)은 사계 김장생 선생이 계축옥사(癸丑獄事)(1613)로 인하여 이곳에 낙향하여 남은 여생을 우암 송시열, 송준길 등 많은 후진을 양성하며 말년을 보낸 곳으로 조선 ....
|
|
|
|
영휘원ㆍ숭인원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영휘원은 조선 제26대 고종황제의 계비(繼妃)인 순헌귀비 엄씨(純獻貴妃 嚴氏)(1854∼1911)의 무덤이다. 엄귀비는 철종 5년(1854) 11월 증찬정(贈贊政) 엄진삼(嚴鎭三)의 장녀로 태어나 8세에 경복궁에 들어....
|
|
|
|
북한산성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북한산성은 백제가 하남 위례성에 도읍할 때 도성을 지키는 북방의 성으로 백제 개루왕
5년(132)에 축성되었다. 이 때 백제의 주력군이 이 성에서 고구려의 남진 세력을 막았다.
그 후 근초고왕의 북진 정책에 따....
|
|
|
|
봉암사 백운대
|
경상북도
|
사찰/유적지/성
|
봉암사내에 위치하여 일명 옥석대라고 함. 울창한 숲, 맑은 계곡, 은은한 목탁소리와 청아한 풍경소리가 한데 어우러져 잠시 속세의 고뇌도 잊고 신선이라도 된 듯 끝없는 평온함에 젖어드는 곳이며 금강산 만폭동에 버금 가는....
|
|
|
|
창경궁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창경궁의 원래 이름은 수강궁으로 세종이 즉위하면서 상왕인 태종을 모시기 위하여 지은 것이다. 그 후 성종 14년(1483) 세 분의 대비를 모시기 위하여 새로 중건하고 이름을 창경궁으로 바꾸었다. 창덕궁과 함께 동궐이....
|
|
|
|
강릉시 오죽헌
|
강원도
|
사찰/유적지/성
|
오죽헌은 강릉시에서 북으로 4km떨어진 경포대의 이웃에 오죽(검은 대나무) 으로 둘러싸여 있는 집이다.
한국이 낳은 위대한 학자이며 정치가인 율곡 이이 선생과 어머니 신사임당이 태어난 곳으로 집안에는 율곡기념관....
|
|
|
|
둔산선사유적지
|
대전광역시
|
사찰/유적지/성
|
둔산동 선사유적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한 곳에서 구석기·신석기·청동기시대의 유적이 발굴된 곳이다.
구석기시대의 유적은 661m²(약 2백평) 정도의 면적에서 몸돌, 망치돌 등 50여점의 석기와 석기를 만들 때 ....
|
|
|
|
세연정
|
전라남도
|
사찰/유적지/성
|
우리나라 조경유적중 특이한 곳으로, 고산의 기발한 착상이 잘 나타난다. 개울에 보를(판석보, 일명 굴뚝다리)를 막아 논에 물을 대는 원리로 조성된 세연지는 산중에 은둔하는 선비의 원림으로서 화려하고 규모가 크다. 어부....
|
|
|
|
종묘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종묘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사당으로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중의 하나이다. 종묘는 태조 3년(1394) 10월 조선 왕조가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그해 12월에 착공하....
|
|
|
|
금산 보리암
|
경상남도
|
사찰/유적지/성
|
683년 원효대사가 이곳에서 초당을 짓고 수도하면서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뒤로 산 이름을 보광산, 초당 이름을 보광사라고 했다. 훗날 이성계가 이곳에서 백일 기도를 하고 조선 왕조를 열었다는데, 그 감사의 뜻으로 166....
|
|
|
|
덕수궁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원래 성종의 형 월산대군의 저택으로 1593년 피난에서 돌아온 선조가 이곳을 임시궁궐로 사용하면서 궁궐로 쓰이게 되었다. 처음 정릉동 행궁이라고 부르던 것을 광해군 3년(1611) 경운궁으로 고쳐 불렀다. 광해군 7년....
|
|
|
|
충열사-임경업
|
충청북도
|
사찰/유적지/성
|
충주시 서남쪽 4km 지점에 있는 단월동에 자리한 충렬사는 조선 인조때의 명장 임경업장군(1594~1646)의 위패를 모신 사당입니다.
임경업장군은 선조 27년(1594) 판서 임정의 후손인 임황의 아들로 충주....
|
|
|
|
사육신묘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동(鷺梁津洞)에 있는 사육신의 묘 조선 단종(端宗)의 복위를 도모하다 목숨을 바친 사육신의 충절과 의기를 추모하여, 1691년(숙종 17) 이곳에 민절서원(愍節書院)을 세우고, 1782년(정조 ....
|
|
|
|
경주 불국사
|
경상북도
|
사찰/유적지/성
|
경주 토함산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다.
이후 조선 선조 26년(1593)에 왜의 침입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불....
|
|
|
|
경복궁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경복궁은 조선왕조 제일의 궁궐로 태조 4년(1395)에 창건하였다.
경복(景福)은 시경에 나오는 말로 왕과 그 자손, 온 백성들이 태평성대의
큰 복을 누리기를 축원한다는 의미이다.
지리적으로도 백악산을 뒤로....
|
|
|
|
관덕정
|
제주도
|
사찰/유적지/성
|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대표적인 건물로서 조선 시대 세종때인
1448년 제주목사 신숙청이 병사들의 무예 수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창건 하였다. 그 후 이곳은 제주관민이
공사를 의논하거나 큰 행사를 치르는 장소....
|
|
|
|
수원 팔달산
|
경기도
|
사찰/유적지/성
|
팔달산 옛 이름은 탑산이었으나 이태조가 조선을 개국하고 탑산에 은거해있는 고려말 3학사중 한분인 이고를 조정에 나올 것을 누차 권고했으나 끝내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화공을 시켜 탑산을 그려오도록 했다한다. 탑산을 본....
|
|
|
|
직지사
|
경상북도
|
사찰/유적지/성
|
소백산맥(小白山脈)의 준령(竣嶺)이 남쪽으로 뻗어 내려오다가 그 서쪽 추풍령(秋風嶺)에서 잠시 머물러 관문(關門)을 이루었고,다시 서남쪽으로 웅장(雄壯)한 산세(山勢)를 유지하며 달려와 힘차게 솟아오른 황악산(黃岳山)....
|
|
|
|
금동미륵대불
|
충청북도
|
사찰/유적지/성
|
금동미륵대불은 용화정토에 이르러 깨달음의 법을 설하시는 미래의 미륵부처님의 현존을 의미한다.
동양 최대의 미륵불 입상으로 신라 36대 헤공왕 때 진표율사가 청동으로 주조하여 1000여 년간 내려왔으나 대원군에 ....
|
|
|
|
경희궁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임진왜란 이후 창덕궁은 법궁, 경희궁은 이궁으로 사용되었으며, 창덕궁과 창경궁을 동궐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하여 서궐이라고 불렀다. 한창 때 경희궁에는 100여채가 넘는 전각들이 있었으나 순조 29년(1829) 화재, ....
|
|
|
|
석모도 보문사
|
경기도
|
사찰/유적지/성
|
보문사의 가장 큰 볼거리는 역시 보문사 뒤 낙가산 중턱에 높다랗게 자리잡고 있는 눈썹바위와 바위벽에 10미터의 높이로 조각되어 있는 마애불상. 예까지 갈려면 보문사 대웅전 옆으로4백개의 계단을 올라가야 하는 데, 어떻....
|
|
|
|
국립광주박물관
|
광주광역시
|
사찰/유적지/성
|
1978년 12월 6일 개관하였다. 전남지역의 문화유산 수집 및 보존관리로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문화유적 조사·연구, 유물전시, 사회교육 기능을 통한 지역문화 창달과 민족문화 선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지....
|
|
|
|
구룡사
|
강원도
|
사찰/유적지/성
|
신라 문무왕 6년 의상대사가 창건하였으며 대웅전 자리에 9마리의 용이 살고 있는 연못을 메우고 사찰을 창건하여 九龍寺라 하였으나, 조선중기 거북바위 설화와 관련하여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습니다.
대웅전(무형문화재 ....
|
|
|
|
도산공원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도산 안창호선생과 부인 이혜련 여사가 함께 묻힌 곳으로 공원 동쪽에 안창호선생 동상이 있는데, 서양식 정원처럼 둥근 중앙을 중심으로 산책로가 뻗어있다. 도산공원 안에 있는 도산 안창호 기념관에서는 도산의 생애와 사상을....
|
|
|
|
속리산 법주사
|
충청북도
|
사찰/유적지/성
|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14년(553년)의신조사가 창건한 이래, 조선조에 들어와 임진왜란 때 불타 버린 것을 인조2년(1624년)에 벽암대사가 재건, 현재에 이르렀다.
경내에는 쌍사자석등, 팔상전, 석련지, 사천....
|
|
|
|
서림산성
|
충청남도
|
사찰/유적지/성
|
한암마을의 배산인 표고 330m의 서림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퇴뫼식 산성으로,서쪽을 제외한
삼면은 석축으로 쌓았고, 서쪽은 토축인지 유실된 것인지 자세하지가 않다.
둘레는 약 450여m 정도로 전....
|
|
|
|
애련정
|
경기도
|
사찰/유적지/성
|
利川邑誌와 愛蓮樓記에 의하면 애련정 축성연대는 모르나, 세종10년(1428년)에 중건,
세종19년(1437년) 겨울 화재로 이듬해 봄 다시 건축, 세조2년(1456년)에 중수, 세조12년(1466년)
부사 이세....
|
|
|
|
덕포진
|
경기도
|
사찰/유적지/성
|
덕포진은 사적 제292호로 서해로부터 강화만을 거쳐 서울로 진입되는 인후인 손돌항에 천험의 요새를 이용한 군사의 요충이고, 병인양요(1866)와 신미양요(1871) 격전을 치른 곳이다. 임진왜란의 쓰라린 체험을 겪은 ....
|
|
|
|
범어사
|
부산광역시
|
사찰/유적지/성
|
금정산 동쪽 중턱에 위치한 범어사는 신라 제30대 문무왕 18년(678)에 의상대사가 세웠
으며, 해인사, 통도사와 함께 영남의 3대 사찰로 유명하다.
창건사적이나 고적기에....
|
|
|
|
충민사 - 김시민장군
|
충청북도
|
사찰/유적지/성
|
김시민장군 충민사는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운 충무공(忠武公) 김시민(金時敏)과 문숙공(文肅公) 김제갑(金悌甲)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사당이다.
김시민(1554-1592)의 자는 면오(勉吾), 본관은 안동으....
|
|
|
|
법주사
|
충청북도
|
사찰/유적지/성
|
주변지역의 수려한 경관과 잘 어울리는 명찰로 이름 높은 속리산 법주사는 지금으로부터 약 1400여년 전인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의신조사가 세운 사찰입니다. 의신조사가 인도에 가서 불법을 구하여 흰 나귀에 불경....
|
|
|
|
법주사 팔상전
|
충청북도
|
사찰/유적지/성
|
법주사내에서 가장 유명한 건물을 꼽으라면 단연 팔상전(국보 제55호)을 들 수 있습니다. 팔상전이라는 이름만 보아서는 무슨 전각이겠거니 하고 생각하지만 팔상전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5층 목탑입니다. ....
|
|
|
|
전등사
|
인천광역시
|
사찰/유적지/성
|
단군왕검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전설을 간직한 삼랑성내에 아늑히 자리잡고 있는 전등사는 고구려 소수림왕 11년(372)에 아도화상이 처음 창건하고 진종사(眞宗寺)라 이름 지었습니다. 그후 고려 충렬왕비 정화궁주가 이 절....
|
|
|
|
경순왕릉
|
경기도
|
사찰/유적지/성
|
사적 제244호. 경기 연천군 장남면(長南面) 고량포리(高良浦里) 소재. 지정면적 3,967m2. 높이 3m. 능 앞에는 단조로운 형식의 비가 있고, 그 전면에 신라경순왕지릉(新羅敬順王之陵) 이라 새겨져 있으며, 후면....
|
|
|
|
낙산공원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낙산은 역사적으로 서울의 형국을 구성하던 내사산(남산, 인왕산, 북악산, 낙산) 중의 하나로 풍수지리상 주산인 북악의 좌청룡(左靑龍)에 해당되어 서편의 우백호(右白虎)인 인왕산과 대치되면서 조선왕조의 수도로서의 한양 ....
|
|
|
|
천은사
|
강원도
|
사찰/유적지/성
|
우리민족의 대서사시 ‘제왕운기’! 보물 제 418호에 빛나는 중요한 문화재인 제왕운기가 탄생한 장소가 바로 이 곳 천은사입니다.
이승휴는 원나라로부터 고려를 지키기 위해 충렬왕에게 충언을 고했지만 그것이 받아들여지지....
|
|
|
|
청평사
|
강원도
|
사찰/유적지/성
|
청평사는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北山面) 청평리 오봉산(五峰山)에 있는 신흥사(神興寺)의 말사(末寺)다. 청평사가 있는 소양댐 인근은 맑은 물과 산이 적절히 어우러진 자연경관이 우리를 편안하게 해준다.
청평사로 가는....
|
|
|
|
삼성혈(三姓穴)
|
제주도
|
사찰/유적지/성
|
三姓穴은 제주도 원주민의 발상지로 아득한 옛날 사람이 살지않던 제주에
高乙那, 良乙那, 夫乙那 세 三神人이 땅속에서 솟아나서 수렵생활을 하다가
五穀六畜을 가지고 온 벽랑국의 3공주를 맞이하여 배필로 삼고 이 땅에 ....
|
|
|
|
수타사
|
강원도
|
사찰/유적지/성
|
수타사는 강원도 홍천군 동면(東面) 덕치리 공작산(孔雀山)에 있는 절로서, 영서지방의 사찰중 가장 오래된 고찰입니다. 공작산을 배경으로 신라 성덕왕 7년(서기 708년)에 원효대사에 의하여 창건되었으며, 당시에는 우적....
|
|
|
|
민속자연사 박물관
|
제주도
|
사찰/유적지/성
|
1984년에 개관된 제주 민속 자연사 박물관은 제주 고유의 민속
유물과 동식물, 지질및 해양 식물 에 관한 자연사 자료를
전시하고 있는 곳으로 자연사 전시실, 민속 전시실, 특별 전시실,
시청각실로 나뉘어 3천....
|
|
|
|
사직공원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사직은 농업의 신인 사와 곡식의 신인 직을 뜻한다. 조선 태조때 세워진 사직단에서는 4개의 대제, 중제, 풍년기곡제, 기우제, 천신제, 고유제가 올려졌다. 지금도 매년 10월 사단법인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 주관으로 사....
|
|
|
|
이승복기념관
|
강원도
|
사찰/유적지/성
|
이승복기념관은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 어린 반공소년 이승복 군을 기념하기 위하여 1982년 10월 26일 건립되었으며, 민족분단 1950년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한민족의 비극적인 현대사를 다시금 일깨워주는 산 ....
|
|
|
|
태릉ㆍ강릉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흔히 태강릉(泰康陵)이라 불리우는 태릉과 강릉은 조선 왕조 제11대 임금인 중종(中宗)의 계비(繼妃)인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1501∼1565년)의 능과 그녀의 아들이자 조선 왕조 제13대 임금인 명종(明宗, 15....
|
|
|
|
수덕사
|
충청남도
|
사찰/유적지/성
|
예산의 수덕사(修德寺)는 충남 북부를 대표하는 오래된 거찰이다. 백제 시대인 법왕 원년(599년)에
창건되었다고 하니 거의 1,500년에 가까운 역사를 자랑하는 사찰이다. 수덕사는 대웅전이 유명하다.
이 건물은....
|
|
|
|
고양 향교
|
경기도
|
사찰/유적지/성
|
고양향교는 고양시에서 가장 오래된 교육기관으로 현재의 위치는 조선조 숙종 당시에 건립되었다.
향교내에서는 서울의 성균관과 마찬가지로 문묘, 즉 대성전과 명륜당, 동무, 서무 등 많은 건축물이
있다. 대성전내에는 ....
|
|
|
|
남산골한옥마을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남산 북쪽 기슭 한옥마을이 들어선 필동(筆洞) 지역은 조선시대에는 흐르는 계곡과 천우각이 있어서 여름철 피서를 겸한 놀이터로 이름있던 곳이다. 또한 청학이 노닐었다고 하여 청학동으로도 불렸다. 청학동은 신선이 사는 곳....
|
|
|
|
용문사 은행나무
|
경기도
|
사찰/유적지/성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龍門面) 용문산에 있는 신라시대에 세워진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649년(진덕여왕 3) 원효대사가 창건하였고, 892년(진성여왕 6)에 도선국사....
|
|
|
|
수원성
|
경기도
|
사찰/유적지/성
|
우리나라의 성곽문화의 백미로 꼽히는 곳으로 수원 시내를 둘러싸고 있는
수원성,또는 화성이라 말할 수 있다. 국내는 물론 외국 성곽의 장점만을
살렸고 또한 세계 최초의 계획된 신도시라는 점이 자랑할 만하다.
수....
|
|
|
|
선정릉
|
서울특별시
|
사찰/유적지/성
|
선릉(宣陵)과 정릉(靖陵)을 합쳐 선정릉(宣靖陵)이라 하는데, 선릉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1495년에 성종의 능인 선릉을 세웠고, 그 뒤 1530년에 성종의 제2 계비인 정현(貞顯) 왕후의 능을 선릉의 동쪽에 안....
|
|
|
|
덕주산성
|
충청북도
|
사찰/유적지/성
|
월악산 남쪽 자락 일대는 남과 북을 잇는 도로의 길목으로 예로부터 전략적, 군사적 요충지였다. 신라 경순왕의 제 1공주 덕주공주가 이곳 월악산에 머물면서 지세를 이용하여 이 산에 성을 쌓고 훗날을 기약하였다. 그 후 ....
|
|
|
|
영은사
|
강원도
|
사찰/유적지/성
|
지방유형문화재 제76호인 대웅보전은 장대석을 쌓아 마련한 기단위에 자연석 주초를 놓았는데 기둥은 모두 민흘림으로 전, 후면 8주는 평주이고 측면과 중앙 등 4기둥은 고주입니다. 제77호인 팔상전은 조선인조19년(164....
|
|
|
|
등명락가사
|
강원도
|
사찰/유적지/성
|
등명사는 "신증동국여지승람" 에 보면 강릉도호부 동쪽30리에 위치한다고 하며 등명이란 이 절이 강릉의 등화와 같은 존재이며 또한 서생들이 이곳에서 공부하다 삼경에 산에 올라 불을 밝히고 기도하면 과거급제가 빠르다고 해....
|
|
|
|
고양 공양왕 고릉
|
경기도
|
사찰/유적지/성
|
고릉은 고려 마지막 왕인 34대 공양왕과 그의 비 순비 노씨의 능이다.
조선태종 16년 공양왕으로 추존하고 능을 다시 쌓았는데 능제는 쌍릉 형식으로 능역에는
상석,장명등, 서로 마주보고있는 두 쌍의 석인과 석호,....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