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맘대로 금값 예측 QE4 , QE5찾기 2020. 3. 29. 03:30
1. 달러 불환화폐
금태환제 폐지 1971년 8월 15일
2. 오일쇼크 기간 금값 상승 및 하락. 인플레이션
금 시세가 이렇게 춤춘 이유는 복합적이다. 미국이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어 달러화 가치가 속락한데다 소련이 군대를 집결시키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며 불안심리가 커졌다. 가뜩이나 이란혁명의 전조가 보이던 1978년부터 달러 약세가 지속되던 시절, 미소 긴장 국면까지 더해지며 안전자산인 금에 매수세가 몰렸다.
3. 3차 양적완화 종료 이전 금값 하락
2012년 6월부터 2,670억 달러 규모로 2차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를 실시
오히려 2012년 12월부터 뉴욕상품거래소에서는 실물 금에 대한 인도 요청이 늘어났다. 그 뒤 4개월 사이에 무려 보유분의 27%가 줄어들었다. 너무 빨리 줄어드는 금 재고분에 대한 우려가 커져갔다. 미국 정부는 또 다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했다. 이제는 현물시장을 찍어 누를 필요가 있었다.
2013년 4월12일. 금요일이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가 개장하자마자 갑자기 금 1백 톤짜리 매도주문이 날아들었다. 갑작스럽게 쏟아진 어마어마한 매도물량이 시장을 덮쳤다. 금 가격은 대폭 하락했다. 두 시간가량 지나 시장이 안정을 찾을 무렵 3백 톤의 매도물량이 다시 쏟아졌다. 이는 2012년 세계 금 생산량의 11%에 이르는 규모였다. 온스 당 1,521달러였던 금 가격은 오후 5시께 1,476달러까지 떨어졌다. 이날 하루 거래된 금만 무려 1,100톤이었다.
그리고 주말을 넘긴 월요일 아침(4.15일)부터 금요일 보다 더 큰 물량이 쏟아지며 오전 금값이 100달러 이상 밀리며 1,400달러 아래로 추락했다. 한 마디로 금 투자 큰손들에게는 재앙이었다. 양 이틀 이러한 거대 물량을 쏟아낼 수 기관은 딱 한 군데밖에 없었다. 연준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이유였다.
4. QE4 ? 5 ? 돌입
금이나 사볼까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 전망 (0) 2020.05.24 년도별 환율 통계.. 금값 차이는 환율 (0) 2020.05.21 한국의 금 가격 (0) 2020.05.21 2010년 1분기 볼만한 애니 (0) 2020.05.20 쌀 국내 재고량 충분할까? 쌀 뉴스 찾기 (0) 2020.04.02 로라티닙 부작용 저장 (0) 2020.03.11 IMF떄 오른 품목, 생필품 다오름 (0) 2020.03.10 비행기가 거의 없다 (0) 2020.03.08 미국 금리가 떨어지면 금값이 오른다 ? (0) 2020.03.05 금 팔때 순도 검사비, 순금 팔때 순도검사비 (0) 2020.03.05